김혜순 시인 “번역 문학은 선물…시로 세계의 경계 넓힌다”

131940733.1.jpg“번역 문학은, 번역 문학이 도착하는 그 국가 언어에 대한 일종의 선물이라고 생각합니다. 한국이 그 나라에 선물을 주는 거죠.”최근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김혜순 시인(70)이 청중 앞에서 마이크를 잡았다. 4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에서 열린 한국문학번역원 대담 ‘포스트 노벨 시대 한국문학 해외 진출 활성화 방안’에서다. 그는 이 자리에서 번역은 일방적 수출이 아니라 한국어와 도착어 사이의 상호관계라는 관점을 제시해 주목받았다.김 시인은 지난해 ‘날개 환상통’으로 한국인 최초로 전미도서비평가협회상을 받았고 ‘죽음의 자서전’으로 2019년 캐나다 그리핀 시문학상을 받은 데 이어 최근 독일 세계 문화의 집이 수여하는 국제문학상 최종 후보에 올랐다.최근에도 영국에서 낭독과 인터뷰를 마치고 귀국한 김 시인은 현지 낭독회에서 겪은 에피소드를 들려주며 번역의 의미를 설명했다. 그는 “해외 독자들로부터 ‘당신의 시에서 주어의 자리가 해체되는 것을 보게 된다. 누가 말하고 있는지 분명치 않다’ 이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