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시의 이미지는 단순한 실재의 반영에 그치지 않고 시인의 미래를 암시하는 징조로 해석되기도 한다. 조선시대 남용익(南龍翼·1628∼1692)의 시에 나오는 나비도 그런 예 중 하나다.시는 알에서 태어난 누에가 애벌레가 되어 자란 뒤 고치를 지어 나비(실제론 나방)로 탈바꿈하는 과정을 읊고 있다. 시인이 어린 시절 어떤 어른의 요청으로 누에를 주제로 즉석에서 지은 시라고 한다. 그 어른은 시를 칭찬하며 장차 높은 자리에 오르겠지만 마지막 구절들을 볼 때 끝이 좋지 못할 것 같다고 예상했는데, 과연 시인은 대제학까지 올랐지만 말년에 적대 당파의 탄핵을 받아서 유배지에서 삶을 마치게 됐다고 한다(李宜顯, ‘雲陽漫錄’). 장자의 ‘호접몽(胡蝶夢)’과 연결시킨 나비로의 변신이 불길한 미래의 징조로 받아들여진 셈이다. 호세 루이스 쿠에르다 감독의 ‘마리포사’(1999년)에서는 시와는 다른 방식으로 나비가 비극의 상징이 된다. 스페인 내전을 배경으로 한 이 영화는 소년 몬초의 눈에 비친 어른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