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제범 감독의 ‘집 이야기’(2019년)에서 혼자 서울살이 하는 주인공 은서는 마음에 드는 집을 찾기 위해 동분서주한다. 몇 번째 집이냐는 부동산 중개사의 질문에 은서는 여섯 번째인가 일곱 번째 이사라고 답한다. 정주(定住)가 쉽지 않은 현대인들처럼 옛사람들도 안정된 집을 찾아 이사를 다니곤 했다. 도연명도 이곳저곳 옮겨 살았다고 하는데, ‘이사’를 주제로 한 다음 시에 그 사연이 담겨 있다.시인이 굳이 교외의 남촌(남쪽 마을)으로 이주한 것은 이곳이 누구나 바라는 좋은 거주지여서가 아니었다. 비록 집은 볼품없지만 마음 맞고 대화가 통하는 이웃들과 즐겁게 어울리기 위해 일부러 이곳을 선택한 것이었다.임순례 감독의 ‘리틀 포레스트’(2018년)에서 서울살이에 지친 주인공 혜원이 이주한 이유도 이웃 친구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임용고시에 떨어지고 잠시 쉬러 온 빈 고향집에서 혜원은 손수 땀 흘려 심고 수확한 자연의 재료로 만든 음식을 어린 시절 친구들과 나누며 즐거워한다. 한시의 역사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