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4년 일본의 독도 침범을 저지한 ‘독도대첩’ 71주년을 맞아 독도의용수비대의 희생을 기리고 독도 수호의 의미를 되새기는 기념행사가 21일 경북 울릉군 독도의용수비대기념관에서 열렸다. 경북도 독도재단과 동아일보가 공동 주최한 이 행사에는 생존 대원인 정원도 옹(96)을 비롯해 의용수비대 유가족과 지역 주민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1953년 울릉도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결성한 독도의용수비대는 1956년까지 독도 침범을 시도한 일본에 맞서 영토를 수호했다. 특히 1954년 11월 21일 ‘독도대첩’ 당시에는 소총과 가늠자 없는 박격포만으로 일본 해상보안청 순시함 2척에 타격을 입히며 독도 침탈 시도를 막았다. 이후 일본은 물리적 침범을 중단했고, 의용수비대는 1956년 경찰에 임무를 인계했다. 현재 생존 대원은 정 옹과 박영희 옹(91) 등 2명이다. 기념사를 맡은 남한권 울릉군수는 “독도의용수비대의 용기와 희생은 울릉도 주민이 지켜온 정신이자 대한민국의 역사”라며 “광복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