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2월 PCE 소폭 상승·소비지출 '주춤'…경기침체 우려감
연방준비제도가 선호하는 물가지표인 2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예상보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질 소비자지출은 전문가 전망치보다 소폭 상승하면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맞춰 소비자들이 지출을 줄이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미국 상무부는 28일(현지시간) 식품 및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PCE 가격지수가 전월대비 0.4%, 전년동월대비 2.8%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 예상치(0.3%, 2.7%)를 웃돈 수치다.
PCE 가격지수는 미국인들이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할 때 지불하는 가격을 측정하는 물가 지표로, 연준이 소비자물가지수(CPI)보다 더 신뢰·선호하는 지표로 알려져있다.
이번 지표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이른바 '관세 폭탄'이 물가상승 압력을 더 부추길 우려가 커진 상황에서 나왔다. 다만 2월은 직접적인 관세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시기로 볼 수 있다.
그럼에도 실질 소비자지출은 0.1%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는 시장예상치(0.3%)를 밑돈 수치로 4년 만에 가장 적은 증가폭이다.
2월 PCE물가가 둔화세를 보이지 않으면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를 유지시켰고 여기다 소비가 줄어들 가능성까지 제기된 것이다.
이에 따라 미국 경제가 향후 경기침체나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질 수 있다는 경계심도 고개를 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