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OECD 경기선행지수', 12개국 중 2위… 3년 7개월來 최고

한국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경기선행지수(CLI)가 7개월째 상승하며 3년 7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13일 OECD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의 경기선행지수는 101.08이다. 지난 2021년 11월(101.09) 이후 3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OECD가 공개한 12개 회원국 중 영국(101.16)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OECD 경기선행지수는 경기 전환점을 빨리 포착하기 위해 고안된 지표로, 6~9개월 후 경기 흐름을 미리 가늠하는 데 쓰인다. 지수가 기준선인 100보다 높으면 향후 국내총생산(GDP) 수준이 장기 추세를 웃돌고, 100보다 낮으면 장기 추세를 밑돌 것으로 전망할 수 있다. 한국의 경기선행지수는 2022년 7월(99.82)부터 20개월 동안 100 아래에 머물다가 지난해 2월(100.02) 100을 넘어섰다. 이후 완만히 상승하다가 지난해 8~11월 4개월 동안 하락했고, 다시 12월부터 연속 상승하고 있다. 한국의 지수 수준은 주요 20개국(G20) 평균 100.50, 주요 7개국(G7) 평균 100.51보다 높은 수준이다. 이는 한국 경기선행지수가 다른 OECD 국가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더 강한 미래의 경기 확장 기조를 가리킨다는 뜻이다. 최근 여러 지표에서 경기 반등을 기대할 수 있는 조짐이 일부 나타나고 있다. 한국은행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4월(93.8)과 5월(101.8), 6월(108.7) 석 달 연속 개선되는 모습이다. 고금리 기조가 완화하는 동시에 2차 추가경정예산을 통한 31조 8천억 원 규모의 소비쿠폰도 조만간 풀리며 소비가 회복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 수출입 동향을 보면 미국발 관세 여파에도 올해 2·3·4·6월 수출이 1년 전보다 늘었다. 특히 6월 수출액은 598억 달러로 역대 6월 중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4월 11일 장중 1487.6원까지 오르며 불안한 모습을 보였으나 최근에는 1300원대 후반에서 다소 안정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천대 초반까지 떨어졌던 코스피 지수는 지난 11일 장중 3216.69까지 오르며 3년 10개월 만에 3200선을 돌파하기도 했다. 해외 주요 투자은행(IB)이 제시한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도 긍정적이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IB 8곳이 제시한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5월 말 평균 0.8%에서 6월 말 0.9%로 0.1%포인트(p) 높아졌다. 다만 미국발 관세 불확실성을 해소하지 못하거나 부진한 제조업, 건설업 등이 회복하지 못할 경우 성장률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