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5개월 만에 의대생 복귀…전공의도 '복귀 분위기' 고조

의과대학 학생들이 의정 갈등 1년 5개월 만에 복귀를 선언한 가운데, 지난해 2월 수련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의 복귀 여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사직 전공의들이 정치권 접촉면을 늘리면서 복귀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15일 의료계에 따르면,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회는 전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와 간담회를 갖고 복귀 방안을 논의했다.  한성존 대전협 위원장은 간담회에서 "지난 1년 4개월이 지나고 무자비한 폭격이 지나가고 주변을 둘러보니 자랑스럽게 생각했던 대한민국 의료는 무너지기 직전의 상황이었다"면서도 "그간의 (의료 대란) 사태로 환자 여러분들께서 겪으셨을 불안함에 마음이 무겁다"고 말했다. 박주민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은 "그동안 수차례 만나면서 어느 정도 신뢰를 회복했다고 믿는다"며 "이런 대화를 이어가면서 신뢰 관계를 더 강화해 나가면서 소통의 폭을 넓혀가면 좋겠다"고 화답했다. 정부·정치권 만나 '복귀 방안' 모색하는 전공의 대표 지난달 말 강경 노선을 이끌던 박단 전 대전협 비대위원장이 물러나고, 대화 기조의 한성존 신임 위원장이 취임하면서 전공의 내부 분위기도 달라졌다. 한 위원장은 취임 직후 김민석 국무총리를 만나 정부와의 소통에 나서는 등 복귀 논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의대생 단체인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가 지난 12일 전원 복귀를 선언한 것도 사직 전공의들의 복귀 움직임에 힘을 실었다. 사직 전공의들은 복귀를 앞두고 그간 불편한 관계였던 의대 교수들과의 신뢰회복에도 나섰다. 과거 일부 전공의들은 교수들을 '중간 착취자'로 비판하며 갈등을 빚었다. 전공의를 값싼 노동력으로 활용하는 구조를 교수들이 방관해왔다는 판단에서다. 이에 일부 교수들은 전공의들이 수련 기회나 시험 추가 편성을 요구하기에 앞서, 의료 공백에 대한 책임을 먼저 인정해야 한다고 반발해 왔다. 이런 상황에서 대전협은 지난 12일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를 만난 뒤 "수련 단절과 교육 단절을 포함해 현재 의료 시스템이 직면한 상황에 대해 깊은 위기 의식을 공유했다"고 밝혔다. 이어 "스승과 제자가 한 뜻으로 머리를 맞대어 논의한 이번 간담회는 사제지간의 연대와 신뢰를 다시 한번 확인하는 소중한 자리였다"고 덧붙였다. '내·외·산·소 전공의 복귀 저조' 우려…과제 남아사직 전공의들의 복귀를 위해 정부가 요구사항을 얼마나 받아들일 수 있을지도 변수다. 대전협에 따르면, 전공의들은 복귀 조건으로 윤석열 정부의 필수의료 정책 및 의료개혁 실행방안의 재검토를 최우선으로 요구하고 있다. 이밖에 수련 환경 개선, 수련 연속성 보장, 불가항력 의료사고에 대한 법적 책임 완화 등도 주요 조건으로 꼽힌다. 특히 군 복무 전공의의 수련 연속성 보장, 법적 부담 완화, 근무환경 개선 등은 정부에 공식적으로 전달할 핵심 요구안으로도 정리됐다. 대전협은 오는 19일 총회를 열고 복귀 요구사항을 확정할 방침이다. 다만 전공의 수련 프로그램을 총괄하는 대한의학회는 추가 시험 등에 여전히 부정적이며, 보건복지부도 특례 조치는 검토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이다.  정부가 지정한 '필수과목'(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등) 전공자들의 복귀율이 저조한 점도 과제로 남는다. 실제 수련을 재개할 뜻이 없다고 밝힌 전공의의 72.1%가 필수과목 전공자였다. 한 응급의학과 사직 전공의는 "이미 응급의학과에 지원하기로 했던 학생들이 마음을 바꿨다는 이야기가 많이 들렸다"며 "고연차 전공의의 경우 '조금만 버티자'는 마음으로 돌아갈 수 있지만, 저연차 전공의들은 수련을 재개하지 않을 수 있다"고 봤다. 이어 "지금도 의료 현장에서는 '소송 리스크'를 느끼고 있다. 이대로면 결국 지난 1년 동안 변한 것은 없이 시간만 허비한 꼴"이라며 "향후 필수과목 전공의 지원율은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