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체장 출신 대통령의 '행정 효능감' 나비효과

이재명 대통령이 지자체와 일선 공무원의 역할을 연일 강조하고 있다. 성남시장과 경기지사를 거친 행정 경험을 살려, 실질적인 국민 삶 개선을 위해 부처 공직자는 물론 지방정부와의 협력을 강화해나가겠다는 방침이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14일 충북 오송 지하차도 참사 현장을 찾아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나눠서 해야 할 일, 함께 해야 할 일을 구분해 각 단위별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현장에서 하천 관리 상황과 재난 관련 시설물을 직접 점검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취임 직후부터 안전치안점검회의를 주재하며 재난·재해, 범죄 예방과 관련 공무원의 역할과 책임을 강조해왔다.  국무회의에서도 공직자들을 향해 "5200만 국민의 삶이 달린 일이니 최선을 다해달라"고 수차례 당부했고, 이날 5급 신임 공무원 대상 특강에서도 "여러분 손에 이 나라 운명이 달려 있다"고 했다. 이 같은 일선 공무원 중시 기조에는 '행정 권력으로 실질적 변화를 이끌어야 국민이 효능감을 느낀다'는 경험적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경기지사 시절 계곡 불법 영업 정비 등 행정 성과로 지지율을 끌어올렸던 경험이 대표적이다. 대통령이 된 후에도 그는 지역에서 주민과 자유롭게 질의응답을 나누는 타운홀 미팅 형식의 간담회를 통해 '해결사' 역할을 자처하고 있다.  지난 광주 방문 때는 군공항 이전 갈등을 조율하며 대통령실 차원의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고, 대전 간담회에 이어 오는 18일에는 부산을 찾아 해수부 이전, 북극 항로 개척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다만 일부 간담회에서 굵직한 현안보다는 사적인 민원이 속출하자, 이 대통령은 "개인적 이해관계를 얘기하면 대통령이 바쁜 시간을 내서 다닐 가치가 있나"라며 자제를 요청하기도 했다.  일각에선 '대통령이 세세한 민원에 시간을 쓰는 건 비효율적'이라는 지적도 제기돼 대통령실은 간담회 운영 방식 개선을 검토 중이다. 대통령 기조에 따라 지방정부의 적극적인 행정도 요구될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은 지난 1월 민주당 소속 지자체장들과 비공개 회의에서 "국회의원도 해봤지만 민생에 직접 도움이 되는 건 지방행정"이라는 취지로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은 대통령 주재 중앙-지방 협력 플랫폼인 '중앙지방협력회의' 재개와 함께 시·도지사 간담회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