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속 웅크린 청년들…닫힌 방 안에 외로움이 쌓인다

▶ 글 싣는 순서 ①빚 노트, 소주병 덩그러니…고독하게 떠난 청년 소연씨의 '흔적' ②[르포]쓰레기 속 웅크린 청년들…닫힌 방 안에 외로움이 쌓인다 (계속) 서울 관악구의 한 주택가. 오래된 다세대 주택 사이 신축 건물 한 동이 자리를 잡고 있다. 말끔한 외벽, 반짝이는 유리창. 겉으론 어떤 문제도 보이지 않았지만, 지난 5월 이곳 주차장엔 특수청소 업체의 트럭 한 대가 잠시 머물렀다. 한 청년의 방이 혼자 치울 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한낮인데도 원룸 안은 캄캄했다. 전등은 오래전 나간 듯했고, 암막커튼이 유일한 창문을 가리고 있었다. 커튼을 젖히자 6평 남짓한 공간이 한눈에 들어왔다. 벽을 따라 쓰레기가 수북이 쌓여 능선을 이루고 있었다. 콧속을 파고든 냄새에 순간 숨이 턱 막혔다. 더위에 부패가 시작한 터였다. 냉장고는 언제 넣었을지 모를 배달음식 통으로 가득했고, 까맣게 국물이 말라붙은 흔적과 날벌레 사체가 눈에 띄었다. 집주인은 쓰레기에 둘러싸여 침대에서만 생활하다 손 쓸 도리가 없어 도움을 요청한 것으로 추정됐다. 검붉게 얼룩진 매트리스 주위로 휴지, 휴대폰 충전선, 이불 등이 흩어져 있었다. 특수청소 업체의 직원이자 다큐멘터리 제작자인 김영총(27) 감독은 마스크도 쓰지 않은 채 숨을 크게 들이쉬었다. "양호한데요. 이 정도면 냄새도 괜찮고요. 하지만 한 번 시작된 쓰레기집은 인간관계에 상처를 입거나 고립이 심해지는 순간 걷잡을 수 없이 악화돼요." 삶이 벅찬 청년들…일상 무너진 곳에 쓰레기가 쌓인다 김 감독에 따르면 월평균 100~150건의 쓰레기집 청소 의뢰가 들어온다. 이 가운데 80% 이상이 2030 청년들이다. 공식 통계는 없지만 '청년 쓰레기집'은 이미 분명한 사회현상이 됐다. 쓰레기집은 보통 '저장강박증(Hoarding Disorder)'으로 분류된다. 하지만 청년들의 쓰레기집은 훨씬 복합적인 맥락을 가진다. 우울, 번아웃, 무기력 등이 일상 유지 능력을 무너뜨린 결과다. '2024년 청년의 삶 실태조사'에 따르면 1년 동안 번아웃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청년은 32.2%. 능력주의와 경쟁주의 속에서 소진된 청년들은 이제 물건을 버릴지 말지를 결정하는 행위조차 노동으로 느끼고 있다. 청소하고 나면 문제가 해결될까? 김 감독은 고개를 저었다. "회복의 첫걸음이 될 순 있겠죠. 그러나 몇 가지 얄팍한 지원으로 해결될 문제는 아니에요. 고독사 현장에도 정부가 지원한 흔적과 정신과 처방약은 있습니다. 청년을 바라보는 사회의 시각과 성과 중심의 문화를 바꾸지 않으면 이 문제는 계속 반복될 거예요." 김 감독은 다큐멘터리 촬영차 만난 청년들을 떠올리며 덧붙였다. "지금 청년들은 사회나 스스로에 대한 기대가 전혀 없어요. 삶은 나아지지 않을 것이고 경쟁이 계속될 것이란 사실에 허무함을 느끼기도 하죠. 포기하고 그저 생존만 한다고 생각해 보세요. 한편으론 쓰레기집이 아늑할 수도 있어요." 쓰레기집에서 10년…"자연스럽게 고독사 상상해" "처음에는 쓰레기가 쌓이는 걸 몰랐어요. 조증 시기에는 집 상태를 제대로 볼 겨를이 없었고, 우울 시기에는 '지금은 좀 쉬고 싶다'는 생각이었거든요. 그러던 어느 날 집이 쓰레기로 가득 차 있다는 걸 인식했고, 자포자기하게 됐습니다." 10여 년간 쓰레기 집에서 은둔한 경험을 책으로 집필한 곱슬구름(필명) 작가는 처음 쓰레기집을 인식했던 순간을 이렇게 기억했다. 그는 조울증(양극성장애), PTSD를 앓고 있다. "집에 사람을 들일 수 없으니 가스 검침 같은 기본적인 생활 서비스도 받지 못했고, 나중엔 집 밖에 나가지 않는 은둔생활까지 하게 됐어요. 저 스스로가 음침하고 부정적으로 느껴졌고, 자아존중감과 자기확신이 약해졌습니다."   한 번 생긴 쓰레기집은 늪처럼 그를 주저앉혔다. 무기력으로 방치된 공간이 오히려 무기력을 심화시키는 악순환이 반복됐다. 거주 기간이 길어지자 외출 등 외부 활동이 어려워졌고, 비위생적인 환경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서 건강도 위협 받았다. "쓰레기 사이에서 잠을 청하면서  자연스럽게 고독사를 떠올리게 됐어요. 내 마지막을 지켜줄 사람이 없다는 생각, 그리고 내가 사라져도 아무도 모를 것이라는 느낌. 어쩌면 나는 이미 사회적으로 죽어있는 게 아닐지 생각하며 울기도 했습니다." 극심한 우울감 속에서 허우적대던 그는 삶을 바꾸기 위한 작은 시도를 시작했다. 쓰레기를 한쪽에 밀어놓고 방 안에서 산책 연습을 한 것이다. 거울을 통해 걷는 자세를 고쳐가며 좁은 공간을 무작정 걸었고, 하루 1만 보를 채우게 된 어느 날 그는 다시 바깥으로 나설 수 있었다. 이후 그는 비슷한 어려움을 겪는 이들과 온라인 채팅방에서 소통을 시작했다. 경험을 나누고, 위로하며 때로는 함께 청소하는 시간을 갖기도 했다. "청소 지원은 꼭 필요해요. 특수 청소는 비용이 너무 비싸서 개인이 감당하기 어렵거든요. 또 쓰레기집 거주자들이 연결될 수 있는 커뮤니티도 필요해요. 나의 상황을 이해하는 사람과 대화하며 청소하는 건 완전히 다른 경험이었어요. 외로움을 덜고 정서적 지지를 얻는 그런 연결이, 삶의 의지를 회복하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믿어요." 94개 지자체 쓰레기집 지원하는데…청년은 '사각지대' 국가법령정보센터 검색 결과에 따르면 '저장강박', '저장장애' 등 쓰레기집 관련 조례를 제정한 지자체는 전국 94곳이다. 조례에는 청소 지원을 비롯해 정신건강 기관 연계, 사후관리 등의 지원이 포함돼 있다. 하지만 대부분 조례가 지원 대상을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 기초연금 수급 가구 등으로 제한하고 있다. 지원이 절실한 쓰레기집 거주 청년들이 늘고 있음에도, 조례가 실제 수요를 반영하지 못하는 것이다. CBS노컷뉴스가 정보공개를 통해 '저장 강박 가구 지원' 조례를 운영하는 서울시 16개 구에서 받은 내용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올해 5월까지 해당 조례로 지원을 받은 청년은 8가구에 불과했다. 전체 지원 가구 수는 총 94가구였다. 청년 가구 지원이 이뤄진 곳은 △양천구 2가구 △동작구 3가구 △광진구 3가구로 폐기물 수거, 주거환경 개선, 사후관리 등의 지원을 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취재진이 방문한 쓰레기집이 위치한 서울 관악구는 청년 1인 가구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지역이지만, 조례를 통한 청소 지원 사례는 한 건도 없었다. 다만, 사례관리 방식으로 청년 1가구가 지원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동대문구도 조례가 아닌 사례관리를 통해 총 6명의 청년에 청소비용 지원, 돌봄 SOS서비스 지원, 정신건강 의료기관 연계 등을 지원한 것으로 파악됐다. 쓰레기집 청소 사업을 진행 중인 청소년행복재단의 박일우 주임은 "의뢰 청년과 지자체를 연결해 주기도 하는데, 대다수의 지자체가 청년을 지원할 근거가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청년 쓰레기집 문제가 심화되는 현실을 반영해 정책 대상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 [고독 死각지대, 고립청년] 나의 고립 점수는 몇 점일까요? 사회적 고립과 은둔 관련 인지적, 정서적 증상에 대한 테스트를 참여해보세요.  아래 링크를 클릭하셔서 인터랙티브 페이지로 접속! https://m.nocutnews.co.kr/story/s250617/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109 또는 자살예방SNS상담 '마들랜'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