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빼고 대부분 하락…12월 제조업 경기전망 '어둡다'

기업들의 체감경기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12월에도 부정적 전망이 우세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반도체 관련 업종은 개선 기대가 두드러져 업종별 온도차가 뚜렷했다. 28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매출 상위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12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조사에서 전망치가 98.7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BSI가 100 미만이면 '전월 대비 경기가 나빠질 것'이라는 응답이 우세함을 의미한다.   12월 전망치는 2022년 4월(99.1) 이후 3년 9개월째 기준선 아래를 유지했다. 11월 실적치도 98.1로 나타나 3년 10개월 연속 부진 흐름이 이어졌다.   업종별로는 제조업과 비제조업 간 차이가 뚜렷했다. 제조업 BSI는 91.9로 전월보다 4.9포인트 하락해 1년 9개월 연속 기준선 밑에 머물렀다. 반면 비제조업 BSI는 105.2로 5개월 만에 기준선(100)을 다시 상회했다.   제조업 세부 업종에서는 반도체와 반도체 장비가 포함된 △일반·정밀기계 및 장비(119.0) △전자·통신장비(111.1) 등 업종이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였다.   섬유·의복·가죽·신발(100.0)은 기준선에 걸쳤으며 △비금속 소재·제품(69.2) △의약품(75.0) △금속 및 금속가공(78.6) △석유정제 및 화학(80.0) △종이·목재 및 가구(85.7) △식음료 및 담배(87.5) △자동차 및 기타운송장비(97.1)는 부진 전망을 보였다.   비제조업은 건설(95.5)을 제외한 모든 업종이 반등했다. △전기·가스·수도(121.1) △여가·숙박 및 외식(114.3) △정보통신(106.7) △전문, 과학·기술 및 사업지원서비스(106.7) △도소매 유통(105.1) △운수 및 창고(103.8)가 호조 전망을 보였다.   한경협은 "반도체 경기 회복으로 일부 제조업의 개선이 기대되지만, 부동산 경기 둔화로 비금속 업종이 위축되고 철강 관세 영향으로 금속·금속가공 업황이 악화하면서 제조업 전반의 기업 심리가 살아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12월 조사 항목별 BSI는 내수(98.1)·수출(97.3)·투자(95.0)·채산성(94.7)·자금사정(97.3)·재고(101.9) 등 전 부문이 부정적 전망을 기록했다. 재고의 경우 기준선 100을 상회할 경우 재고 과잉으로 부진하다는 의미다.   다만 내수(98.1)와 투자(95.0) 전망은 올해 최고치, 수출(97.3)도 2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오르며 일부 개선 흐름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