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4월 미국이 중국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자 중국은 곧장 보복 관세와 함께 희토류 7종 수출 통제로 맞섰다. 중국이 희토류 카드를 꺼내 든 이유는 독점에 가깝게 공급망을 틀어쥐고 있어서다. 희토류 공급을 차단하면 관세 전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령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해당 전략은 유효했다. 전기차와 전투기, 드론, 잠수함, 미사일 등 첨단 제품과 군사 장비를 위해 희토류가 필요한 미국은 결국 일시적으로 관세 전쟁 휴전을 선언했다. 대중국 관세를 대폭 낮추자 중국도 희토류 수출을 정상화하며 급한 불은 꺼졌다. 다만 미국을 포함한 주요국은 중국이 희토류 수출을 통제하면 글로벌 공급망 교란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희토류를 보유한 국가는 자체 생산량 확대를, 자원이 없는 국가는 탈희토류 기술 확보를 추진하는 가운데 희토류 매장량이 풍부한 브라질이 주목받는다.전기차, 로봇 등 모터 제품 소형화와 고효율 이끄는 핵심 소재 ‘희토류’희토류는 모터 제품의 소형화와 고효율을 위해 필요한 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