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연구에 동물을 사용한 논문들을 조사한 결과 이미지 조작이 의심되는 논문 240편 이상이 발견됐다. 논문을 조사한 연구팀은 과학 신뢰도 저하를 우려했다. 레네 아크바리위스 네덜란드 라드바우드대 의료센터 박사후연구원 연구팀은 출혈성 뇌졸중 동물모델을 이용한 과학 논문들을 분석한 결과 이미지 조작 정황들을 발견하고 연구 결과를 30일 국제학술지 ‘PLOS 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 뇌졸중 같은 질환을 연구한 논문은 단백질이나 세포, 뇌 조직의 변화 등을 이미지로 제시해 논문의 신뢰성을 높인다. 연구팀은 출혈성 뇌졸중 전임상시험 논문 608편을 조사해 이미지 복제 사례들을 발견했다. 조사 논문의 40%인 243편에서 문제점이 발견됐다. 논문 한 편 내에서 또는 서로 다른 논문에서 같은 이미지가 반복돼 사용한 사례들이 발견됐다. 연구팀은 “발견된 중복 이미지들로 동물실험 기반 뇌졸중 연구 전반에 대한 타당성과 진실성이 의심받게 됐다”며 “임상의, 정책입안자 등이 환자에게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