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미세먼지(PM2.5) 농도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결과 예측 정확도가 최대 76%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지난달 20, 21일 서울 강서구 메이필드호텔에서 ‘대기질 모델 예측 성능 향상을 위한 전문가 워크숍’을 열고 AI 모델 개발 현황과 예측 결과를 공개했다. 홍성철 환경과학원 연구사는 이 자리에서 초미세먼지 예측 정확도를 최대 76% 향상시킨 AI를 활용한 초미세먼지 예측 모델을 선보였다. 현재 미세먼지를 예보할 때는 기상 예측 자료와 대기 측정 자료, 대기 오염물질 배출량 등을 고려한 대기질 예측 수치모형(CMAQ)을 활용한다. 다만 기상 예측이 틀릴 수도 있고 기상 변화에 따라 미세먼지 예측 농도값이 달라져 크고 작은 오류를 피할 수 없다. 환경과학원은 2018년 AI를 활용한 대기질 모델 개발에 착수했고 지난해 챗GPT에 쓰이는 알고리즘 등을 활용한 초미세먼지 예측 모델 개발을 마쳤다. 이 모델은 풍속과 기압, 초미세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