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이정호 교수 연구팀이 악성 뇌종양인 교모세포종의 발병과 치료 저항성의 원인이 되는 ‘전암 세포’를 처음으로 규명했다고 21일 밝혔다.교모세포종은 악성 뇌종양으로 광범위한 뇌 절제술을 포함한 표준 치료 후에도 1년 이내 재발률이 매우 높은 질환이다.교모세포종에선 암세포가 매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각각이 치료에 다르게 반응하는 ‘종양 내 이질성’이 치료의 가장 큰 걸림돌로 꼽힌다.연구팀은 종양 내 이질성의 뿌리가 전암 세포에 있다는 점을 밝혀냈으며, 이 세포들이 종양의 진화와 재발을 유도하는 핵심이라는 사실을 입증했다.연구팀은 체성돌연변이를 유도한 자연발생 교모세포종 동물 실험을 통해 종양 발생 전 전암 세포를 단일세포 수준에서 추적했다.실험 결과 전암 세포는 희소돌기아교세포 계통에서 유래하며 다양한 종양 유발 전사 프로그램을 획득해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진 암세포로 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또 교모세포종 환자의 뇌실하 영역에서도 유사한 전암 세포가 발견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