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연구진이 악성 뇌종양의 일종인 교모세포종의 진화 과정을 규명했다. 교모세포종은 가장 예후가 나쁜 악성 뇌종양으로 생존율이 매우 낮다. 이번 발견으로 교모세포종의 새로운 치료법이 나올 수 있을지 주목된다 KAIST는 21일 이정호 의과학대학원 연구팀이 교모세포종의 근원인 ‘전암(前癌) 세포’의 유래와 진화 과정을 밝혀 국제학술지 ‘캔서 디스커버리’ 16일자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 교수팀은 2018년 교모세포종이 뇌 깊은 곳에 있는 돌연변이 줄기세포로부터 시작된다는 것을 밝혀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한 바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돌연변이 줄기세포가 어떻게 전암 세포로 분화되는지 규명했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암의 씨앗’이라고 할 수 있는 전암 세포를 제거하는 새로운 방식의 교모세포종 치료법을 제안한 것이다. 교모세포종은 암세포가 다양한 형태로 공존하는 ‘이질성’을 보인다. 형태가 다른 암세포는 각각 치료에 대한 반응이 달라 교모세포종 치료의 가장 큰 걸림돌로 꼽힌다. 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