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울증과 불안을 모두 겪는 한국 독거 성인의 자살 위험이 두 정신 질환이 없으며 동거 중인 사람보다 558%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혼자 살며 우울증과 불안을 앓는 40세에서 64세 사이의 남성이 자살 최고 위험군에 속했다.성균관 대학교·숭실 대학교와 독일 베를린 샤리테 의과대학(Charité Universitätsmedizin Berlin) 연구진이 미국 의사협회 학술지(JAMA) 네트워크 오픈(Network Open)에 발표한 연구 결과다.연구진에 따르면 자살은 매년 70만 명 이상의 사망을 초래하는 세계적인 건강 문제다. 한국은 2003년부터 2023년까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를 기록했다. 인구 10만 명당 24.1명의 자살자가 발생했다. 독거 생활은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으로 부상했으며, 사회적 고립이나 정신 질환과 종종 연관된다. 사회적 고립은 정신 질환, 치매, 영양 불량, 당뇨병, 심혈관 질환 등 부정적인 결과와 관련이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