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암 치료의 변수, 간 기능이 살아야 환자도 산다

131497620.1.jpg국가암정보센터 통계(2023년)에 따르면 간암은 국내에서 폐암 다음으로 사망률이 높은 치명적인 질환이다. 최근 발표된 10대 암 국내 5년 상대 생존율을 살펴봐도 간암은 38.9%에 불과하다. 환자 10명 중 6명 이상 5년 안에 숨지고 있다. 간암은 주요 발생 10대 암에 꾸준히 이름을 올리고 대중적 인지도가 높은데도 여전히 치료 성적이 좋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김보현 국립암센터 간담도 췌장암센터 교수(소화기내과장)를 만나 최신 치료 및 예방에 대해 알아봤다.● 간암 환자 대부분 간경화 앓아간암 환자 대부분은 이미 간경화(간경변증)를 함께 앓고 있을 때가 많다. 다른 암과 비교할 때 생존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주요 만성질환인 간경화 사망률도 높은데, 간암까지 진행되면서 사망 위험이 배로 높아진다. 김 교수는 “간암(간세포암)은 바이러스 간염, 알코올 간질환,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 등 만성 간 질환 환자에게 진단된다”며 “만성 간 질환이 간경화로 진행되고 또 간암이 생기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