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에서 30~40대의 젊은 여성 유방암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의료진이 ‘MYC 유전자’가 관여를 한 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국립암센터는 정소연 유방암외과 교수와 강민채 표적치료연구과 연구원이 지난달 3~4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제5회 아시아종양학회(AOS) 및 제51차 대한암학회 공동학술대회’에서 각각 ‘최우수 연제상’과 ‘최우수 포스터상’을 수상했다고 5일 밝혔다.이번 학술대회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암 분야 국제학회인 아시아종양학회와 국내 암 연구를 대표하는 대한암학회가 공동 주최했으며 국내외 연구자들이 최신 암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장이었다. 정소연 교수는 전체 초록 중 단 4명에게만 수여되는 ‘최우수 연제상’의 영예를 안았다. 정 교수는 카이스트 최정균 교수 연구팀과 협업해, 젊은 여성에게 유방암이 증가하는 생물학적 원인을 규명하고자 최신 유전자 분석기법을 활용해 암세포 및 주변 미세환경을 정밀 분석했다. 그 결과 젊은 유방암 환자에서는 암세포의 성장을 촉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