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연구팀이 국제 공동 연구로 두경부암 오르가노이드에 담긴 단일세포 전사체를 분석, 두경부암 치료에 저항하는 기전과 핵심 조절 인자를 규명했다. 이는 세계 최초다.강남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박영민 교수팀은 미국 USC(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두경부센터 Dechen Lin 교수 등과 국제 공동 연구팀을 꾸려 두경부암 오르가노이드 생성을 통한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을 시행했다.연구팀은 구강과 인·후두를 덮고 있는 상피세포에서 기원한 악성 종양인 두경부 편평상피 세모 암종이 수술, 화학 약물, 방사선 치료 같은 병합 치료를 시행해도 사망률이 높다는 점과 최근 타 암종은 면역항암제 개발로 치료 결과가 개선됐음에도 혁신적인 치료제 개발이 더디다는 점을 개선하고자 했다.두경부암 환자 31명의 종양 세포를 채취해 세계 최초로 환자 유래 종양 오르가노이드를 만들었다. 연구팀은 두경부암 환자 유래 종양 오르가노이드가 실제 환자 종양과 유전적 특성은 물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