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소년층의 마약 및 도박 중독 노출이 단순한 우려를 넘어 현실적 사회문제로 떠오르면서, 이를 예방하고 중재할 수 있는 청소년 중독 상담사 등 전문 인력의 체계적 양성과 정책 기반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질병관리청과 교육부가 공동 수행한 ‘2024년 제20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에 따르면 최근 1년 이내 마약류를 사용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청소년 비율은 0.7%로 나타났다. 사용 유형은 대마초(48.4%), 향정신성의약품(27.5%), 흡입제 등 환각제(20.3%) 순이었다. 특히 마약류에 대한 최초 인지 시기가 초등학교 시절이라는 응답이 38.9%에 달해 조기 노출의 심각성을 보여줬다.마약류 입수 경로도 디지털 매체를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인터넷(42.3%)과 SNS(38.1%)를 통해 접촉했다는 응답이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했다. 이는 기존의 대면 유통 중심 구조에서 비대면·디지털 경로를 통한 은밀한 확산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