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연구진이 우울증이 신경세포 손상은 물론 특정 신경신호 경로의 교란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고령 우울증 환자에게 기존 항우울제가 반응하지 않는 원인도 분자적 수준서 규명했다.한국과학기술원(KAIST·카이스트)는 생명과학과 허원도 석좌교수팀이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 아주대학교의료원과 협력해 극단 선택을 한 환자 뇌 조직의 RNA 염기분석 및 면역조직화학 분석을 통해 우울증의 새로운 분자 기전을 규명했다고 19일 밝혔다.또 공동연구팀은 광유전학(optogenetics) 기술을 통해 신경회복을 유도하는 신호경로 조절로 항우울 효과를 회복할 수 있다는 사실도 동물모델에서 확인했다.이번에 연구팀은 기억과 감정을 담당하는 뇌 부위인 해마(hippocampus)와 정보가 처음으로 들어올 때 새로운 기억생성, 신경세포가 자라고 감정조절과 우울증과 연관이 있는 해마 안의 공간인 ‘치아이랑(DG)’을 집중 분석했다. 두가지의 대표적인 우울증 마우스 모델(콜티코스테로이드 스트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