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척추질환의 비수술적 치료법으로 주목받는 추간공확장술은 꼬리뼈 접근법과 추간공 접근법을 동시에 활용해 효과를 극대화한다. 좁아진 척추 신경 통로를 넓힌 뒤 염증을 제거하는 기계적·생화학적 원리를 동시에 적용해 높은 치료 성공률을 보인다. 이에 두 접근법의 특징과 차이는 무엇이고, 어떻게 상호 보완해 시너지를 내는지에 대해 서울 광혜병원 박경우 대표원장의 도움을 받아 알아봤다.먼저 1단계 꼬리뼈 접근법은 천추열공이라는 엉치뼈 틈새를 통해 경막외 카테터를 진입해 척추관을 따라 병소 부위의 추간공으로 접근한다. 막히거나 좁아진 공간을 경막외 카테터로 척추관 내부를 통해서 병소인 추간공 부위의 바깥으로 뚫기 때문에 ‘in-out 접근법’이라고도 한다. 2단계 추간공 접근법은 옆구리 방향에서 바로 병소 부위의 추간공 쪽으로 접근한 특수 키트로 추간공 내·외측의 인대를 절제해 공간을 확보한다. 이후 척추관 후방부의 공간까지 접근해 황색 인대까지 공략하므로 ‘out-in 접근법’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