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방울 맺힌 유리창 밖을 보는 것처럼 흐릿한 영상을 선명하게 복원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이 개발됐다. KAIST는 바이오·뇌공학과 장무석 교수와 김재철AI대학원 예종철 교수 공동 연구팀이 움직이는 ‘산란 매질’ 너머 본래 영상을 복원할 수 있는 ‘비디오 디퓨전 기반 영상 복원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산란 매질은 빛의 경로를 무질서하게 섞어 시각 정보를 왜곡하는 물질이다. 안개, 연기, 불투명 유리, 피부 조직 등이 대표적이다.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안개 낀 도로에서 자동차 전조등을 켜도 시야가 흐릿하게 보이는 현상이나, 김 서린 욕실 유리창 너머의 모습이 왜곡돼 보이는 것처럼 빛이 흐트러지는 환경에서도 영상을 선명하게 복원할 수 있게 해준다. 다양한 거리·두께·잡음 조건에서도 기존 최고 성능의 복원 모델을 뛰어넘는 결과를 얻는 성과를 냈다. 연구진은 이를 통해 혈액이나 피부 속까지 들여다보는 비침습적 의료 진단, 연기로 가득한 화재 현장에서의 인명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