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한국소비자원이 한국 시장에 유통 중인 주요 로봇청소기 6종의 보안 실태를 전수조사한 결과 일부 제품(3종)에서 사생활 침해와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KISA·소비자원은 모바일앱 보안·보안 정책 관리·기기 보안 등 3분야에 걸쳐 총 40개 항목을 점검한 결과를 2일 발표했다.모바일앱 보안 점검 결과 △나르왈 △드리미 △에코백스 3개 제품 경우 사용자 인증 절차가 미비해 집 내부 사진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카메라 기능이 강제 활성화될 수 있는 위험성이 드러났다.정책 관리 부문에서는 드리미 제품의 개인정보 관리가 미흡해 이름·연락처 등의 유출 우려가 확인됐다. 해당 취약점은 사업자에게 즉시 개선 조치를 요구해 현재 보완이 이뤄졌다.기기 보안 점검에서는 드리미와 에코백스 2개 제품의 하드웨어 보안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았다.아울러 펌웨어 보안 설정 또한 충분하지 않아 내부 구조가 외부에 노출될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반면 삼성전자와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