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전산학부 이의진 교수 연구팀이 가정 내 사물인터넷(IoT) 센서 데이터를 활용해 개인의 정신건강 상태를 정밀하게 추적할 수 있는 가능성을 입증했다고 21일 밝혔다.정신건강 관리를 위해선 자신의 상태를 꾸준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기존의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 기반 추적 방식은 사용자가 기기를 착용하거나 소지하지 않은 집 안에서는 데이터가 누락되는 한계가 있었다.이에 연구팀은 가정 내 환경 데이터에 주목해 청년층 1인 가구 20세대를 대상으로 4주간 실증 연구를 진행했다. 가전제품과 수면 매트, 움직임 센서 등을 설치해 IoT 데이터를 수집하고 스마트폰·웨어러블 데이터와 함께 분석했다.그 결과, IoT 데이터를 함께 활용할 때 정신건강의 변화를 기존 방식보다 훨씬 정확하게 포착할 수 있었다. 수면 시간 감소는 우울·불안·스트레스 수준 증가와 밀접하게 연관됐으며, 실내 온도 상승 또한 불안 및 우울과의 상관관계를 보였다.참가자들의 행동 패턴은 스트레스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