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부산회담은 전략적 휴전… 韓, 지정학 충격 넘을 대안 찾아야”

132710643.5.jpg“미국과 중국의 정상이 부산에서 만나 회담한 점은 의미가 있지만 미중 관계가 완전히 봉합됐다고 보기는 어렵다. 한국 기업은 미국과의 협력을 강화하되 중국과의 관계를 유지하며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해야 한다.” 12월 4일 열리는 ‘동아비즈니스포럼 2025’의 기조 연사로 방한 예정인 조지 프리드먼 지오폴리티컬 퓨처스 회장(사진)은 본보와의 화상 인터뷰에서 APEC 기간 중 부산에서 열린 미국과 중국의 정상회담에 대해 “완전한 전환점으로 보기는 어렵고 양측이 시간을 벌기 위한 전략적 휴전일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세계적인 지정학 전략가이자 ‘21세기 노스트라다무스’로 불리는 프리드먼 회장은 “중국은 미국 시장 접근이 절실하고, 미국은 러시아의 외교적 고립을 확대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미국은 중국산 제품 수입에 한계를 두고 싶어 하고, 중국은 러시아와의 관계에서 긴장감을 높이고 싶지 않을 것”이라며 “내부의 정치적 논리와 리스크를 얼마나 감내할 수 있느냐에 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