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 진단을 받은 뒤에도 담배를 계속 피우면, 치매에 걸릴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흡연 전력이 없던 사람이라도 우울증 진단 후 기분 전환 등의 이유로 새롭게 담배를 피우기 시작하면 진단 후 금연을 이어간 사람보다 치매에 걸릴 위험이 더 컸다.삼성서울병원, 삼성생명과학연구소, 한림대성심병원, 숭실대학교 공동연구진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해 2009~2012년 사이에 새로 우울증 진단을 받은 40세 이상 성인 남녀 129만 530명을 2020년까지 평균 4.26년 동안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우울증 환자 중 5만 8885명(4.56%)이 추적 기간 동안 치매 진단을 받았다.연구진은 우울증 진단 후 흡연 상태에 따라 △비흡연군 △흡연 시작군 △금연군 △지속 흡연군 등 네 그룹으로 나누어 치매 발생 위험을 분석했다.그 결과, 지속 흡연군(14만 1791명)의 치매 발생 위험은 비흡연군(107만 3517명)에 비해 1.34배(34% 높음)였다.금연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