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인공지능(AI)이 인간의 연구와 창작, 교육의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다. 단순한 도구를 넘어 연구와 창작의 ‘동료’로 진화한 AI 앞에서 인간의 역할과 가치는 다시 사회적 논의의 중심에 섰다. 3일 AI가 가져온 변화와 대응 전략, 그리고 AI 시대 인간이 지녀야 할 가치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과학자·철학자·예술가·개발자가 동아일보 충정로 사옥에 모였다. 사회는 물리학을 전공한 뒤 과학철학으로 전향해 과학기술과 사회의 관계를 연구해온 이상욱 한양대 철학과 교수가 맡았다. AI 기반 단백질 구조 예측 연구를 선도하는 석차옥 서울대 화학부 교수, 1400여 곡을 작곡하며 한국 대중음악계를 이끌어온 김형석 작곡가, 그리고 리눅스 스마트폰 개발부터 이노베이션 아카데미 초대 학장까지 소프트웨어 교육 혁신을 이끌어온 이민석 국민대 소프트웨어융합대 교수가 패널로 참여했다. 이들은 AI가 연구나 창작에서 전문가의 시대를 끝내고 있다고 보면서도 ‘불완전성’이라는 인간의 진짜 가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