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각한 의료 취약지에는 일회성 사업비나 단순 수가 가산을 넘어 핀셋형 집중 지원이 필요하다.”(조희숙 강원도 공공보건의료지원단장)“공공의대를 신설하고 지역 의사 배치를 늘리는 것보다 간호사, 사회복지사를 포함한 통합 의료 시스템 확충이 더 중요하다.”(박은철 연세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지역의료 위기 극복을 위해선 의사 수를 늘리는 것보다 의료시스템 개혁이 선행돼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환자의 수도권 쏠림을 막을 수 있는 한국형 지역의료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대한민국의학한림원(의학한림원)과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의기협)는 13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지속 가능한 지역의료 생태계 구축을 위한 해법 모색’을 주제로 제4회 미디어포럼을 공동 개최했다. 지역의료 붕괴 원인을 살펴보고, 지역의료 지속 가능성을 가늠하는 자리다. 주제 발표에 나선 조 단장(강원대 의대 의료관리학교실 교수)은 “지역 병원에는 환자가 없고, 환자에게는 병원이 없다는 역설은 모순이 아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