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준으로 보면 미국의 의료비는 터무니없이 비싸다. 수천 만 명의 미국인들이 값비싼 의료보험을 부담하지 못해 의료 사각 지대에 놓여 있기도 하다. 한편 의료인들이 환자들의 궁금증을 충분히 해소해주지 못한다는 불만은 한국이 미국보다 더 클 수도 있다. 불과 5분 정도의 진료 시간 동안 한국 환자들은 자신의 질병에 대해 충분히 설명을 듣지도 못하고 증상을 충분히 설명하지도 못했다는 느낌을 받기 십상이다. 이런 불만은 정도 차이는 있더라도 전 세계 모든 환자들에게 마찬가지일지 모른다. 미 뉴욕타임스(NYT)는 17일(현지시각) 미국의 환자들이 의료 체계에 대한 환멸 때문에 갈수록 챗GPT와 같은 인공지능(AI)에 더 많이 의존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NYT는 이런 경향이 일부 긍정적인 측면도 있으나 큰 부작용을 초래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기업화된 의료체계 환멸이 챗GPT 의존 키워로스앤젤레스에 사는 은퇴 변호사 웬디 골드버그(79)는 단백질이 골밀도를 높이는데 도움이